-
고향사랑 기부제를 아시나요?
개인이 기부자 본인의 주민등록등본 상 거주지를 제외한 지역자치단체에 기부하고 지자체는 이를 모아서 주민복리에 사용하는 제도입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부자에게 고향사랑 기부에 대한 세액공제와 기부한 고향의 답례품 혜택을 제공합니다.
고향사랑e음 답례품몰 사이트 기부금액 30% 포인트 제공
답례품은 기부금액의 30% 한도 내에서 제공합니다. 기부액이 10만 원이라면 3만 원의 포인트가 제공되고, 100만 원이라면 30만 원의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기부할 수 있는 한도가 있는데요, 연간 상한액 5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고향사랑 기부금 세액공제
기부액 10만 원 이하는 100% 세액공제됩니다. 기부액 10만 원 초과는 16.5% 세액공제됩니다.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이 크다면 10만 원 초과하는 금액을 기부해도 좋겠지요.
그래도 100% 세액공제받는 범위인 10만 원을 기부하고, 답례품 3만짜리를 받는다면 공짜로 답례품을 받는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답례품 먼저 살펴보기
답폐품 3만 원 포인트 중에서 마음에 드는 상품을 우선 골라, 해당 지자체에 10만 원을 기부하는 것이 꿀팁입니다.
답례품은 관광서비스, 농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생활용품, 지역상품권까지 다양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2023년에 돼지고기 제품을 받았는데요, 배송 포장부터 정성이 느껴지고 고기 맛도 정말 좋았습니다.
제철식품관 이용하기
고향사량 e음 답례품 품목에는 제철 식품도 있습니다. 식품의 영양이 최고인 제철에 나온 음식을 구매하는 것도 좋겠지요. 그러니 제출식품관에서 답례품을 골라보는 것도 좋은 꿀팁입니다.
오늘은 고향사랑 기부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3만 원 이내 답례품을 먼저 골라서, 해당 지자체에 10만 원을 기부하고 답례품을 받으면 나중에 연말정산 시 10만 원을 100% 세액공제받을 수 있으니, 기부도 하고 상품도 받는 꿀팁을 모두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차이 (1) 2024.02.09 원천징수영수증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1) 2024.02.08 연말정산 원천징수영수증 교육비 세액공제 (1) 2024.02.08 원천징수영수증 근로소득 및 자녀 세액공제 항목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2.06 원천징수영수증으로 알아보는 연말정산 특별세액공제 보험료 및 의료비 (1) 2024.02.03